아카데미 소식
Apr 22, 2025
동문 출신 멘토가 이야기하는 ‘우리는 여전히 러너예요.’

프라이데이, 루미, 엠케이. 이 셋은 모두 서로 다른 기수의 아카데미 러너였고 지금은 각각 디자인, 테크, 러닝 디벨롭먼트 멘토이죠. 그들 역시 처음엔 어딘가 낯설고 막막한 상태로 아카데미에 들어왔었어요. 러너로서의 시간은 그들에게 어떤 의미였고, 멘토가 된 지금은 어떤 마음으로 러너들을 마주하고 있을지 이야기를 들어보았어요.
먼저 각자 자기 소개를 부탁드릴게요.
프라이데이 : 안녕하세요, 작년에 갓 수료한 3기 동문 프라이데이입니다. 왜 프라이데이냐고 많이들 물어보시는데요. 저는 늘 가장 기쁜 날에 떠오르는 사람이 되고 싶었어요. 그게 금요일이더라고요. 다음 날 늦잠 잘 수 있는 날이기도 하고요. 그래서 프라이데이라는 닉네임을 짓게 되었어요. 아카데미에 오기 전에는 스타트업에서 디자인 마케팅 등 공간, 사용자 경험 기반 전반의 디자인 활동을 했습니다. 지금은 아카데미의 디자인 멘토예요.
루미 : 저는 루미라는 닉네임을 사용하고 있고요, 아카데미 1기 동문입니다. 수료 후에는 스타트업과 창업팀에서 iOS 개발을 계속했고, 이번 4기부터 테크 멘토로 합류하게 되었어요.
엠케이 : 저는 2기 동문 엠케이입니다. 현재 러닝 디벨롭먼트 멘토로 커리큘럼 설계나 교육 활동 기획과 진행을 담당하고 있어요. 이전에는 교사로 일했었고 그때 쌓았던 노하우를 멘토들에게 나누는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어떤 계기로 아카데미 러너로 지원하게 되었나요?
프라이데이 : 저는 성향상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걸 정말 좋아하고 그런 활동들을 여태껏 많이 해왔어요. 그러던 중에 대학 동기가 아카데미를 수료했다는 소식을 듣고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지게 됐죠. 아카데미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내가 바랐던 곳일 수도 있겠다', '나만의 유토피아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새로운 관점과 생각들이 넘쳐나는 사람들과 함께 다양한 활동을 해보고 싶어서 지원하게 됐어요.
루미 : 저는 아카데미 오기 전에도 iOS 개발을 조금씩 공부하고 있었어요. 그때 마침 Apple 디벨로퍼 아카데미가 생긴다는 소식을 접하게 됐고 저는 그때 당시 평범한 대학생이었는데 아카데미 홍보 영상을 보자마자 가슴이 두근두근해졌어요. '이곳에 가면 나도 수동적인 학습자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해볼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지원하게 됐어요.

엠케이 : 저는 초등학교 교사로 일하면서 AI 관련 연수를 듣게 됐고 그때 처음 개발에 흥미를 느꼈어요. 본격적으로 공부를 하고 싶었는데 어디서 배울 수 있을까 고민하던 중에 아카데미를 알게 됐죠. 교육과 배움이라는 키워드가 저에게 익숙한 만큼, 아카데미의 교육 과정과 가치가 정말 와닿았고 '이곳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배우면 더 잘 배울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지원하게 됐어요.
러너 시절, 챌린지를 하며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다면?
프라이데이 : 두 번째 팀 챌린지가 가장 기억에 남아요. 한 명의 사용자를 깊이 리서치해서 그 사람을 위한 솔루션을 도출하는 챌린지였는데, 5주 동안 기획, 디자인, 개발, 리서치를 모두 해내야 했어요. 부족한 시간이었지만 우리 팀은 자발적으로 아침 9시에 모여 새 벽까지 작업했어요. 강요도, 규칙도 없었는데 모두가 몰입해서 가능했던거죠. 결국 앱 출시까지 해냈고 그 경험 속에서 진짜 많은 성장을 했어요. 처음 개발도 직접 해봤고요.
루미 : 저는 첫 번째 팀 챌린지가 제일 기억에 남아요. '할 수 있는 최대를 해봐라'는 메시지를 받고 정말 열심히 임했어요. 당시엔 코로나로 비대면으로 줌에서 협업을 해야해서 예상치 못한 어려움이 많았지만 러너들이 게더타운을 만들어서 함께 모여서 각자 작업하면서 개발하고 문제를 나누는 모습이 인상 깊었어요. 비대면이지만 함께 하는 방법을 스스로 찾아가는 모습에서 아카데미 러너들이 얼마나 대단한 사람들인지 실감했어요.
엠케이 : 저도 첫 팀 챌린지가 가장 기억에 남아요. 개발을 배우기 위해 왔는데 막상 진행하다 보니 익숙한 발표 쪽으로만 하게 되더라고요. 그러다 어느 순간 '내가 코드 한 줄도 안 썼네?'라는 사실을 깨달았죠. 그래서 팀원들과 잘하는 걸 하기보다 배우고 싶은 걸 해보자고 의논했고, 그 결과 저는 개발을 직접 시도해보고, 팀원은 발표를 맡았어요. 효율보다 배움에 집중한 경험이었고 아카데미의 철학을 체감할 수 있었어요.
각자의 '나 때는 말이야' 이야기, 자랑해 주세요.
루미 : 아무래도 1기 때는 처음이라 지금 있는 많은 것들이 없었어요. 예를 들면 6층 출입이 불가능했고, 에어컨도 부족했어요. 지금은 공부하기 좋은 환경이라 오래 머무르려 하지만, 당시엔 세션 끝나면 땀 흘리며 집에 가기 바빴죠. 그리고 지금처럼 1년 커리큘럼을 위한 배경과 컨셉이 없어서 몰입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던 것 같아요.
프라이데이 : 3기는 선배 기수 덕분에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었고 러너들 간의 자율적인 학습 문화가 활발했어요. 자발적으로 스터디가 만들어지고 자유롭게 협업하며 학습하는 분위기가 인상 깊었죠.
엠케이 : 2기에만 있었고, 3기, 4기에는 없는 특별한 이벤트가 하나 있었거든요. 바로 지곡 러닝 클럽이에요. 달리기를 좋아하는 러너들이 모여 만든 클럽이었는데 단순히 같이 뛰는 걸 넘어서 정말 정성스럽게 준비한 야간 러닝 행사를 열어줬어요. 그날은 오전반, 오후반 상관없이 다 같이 저녁에 잔디밭에 모였어요. 준비운동을 함께 하고 러닝 코스도 5km 반환점까지 정확하게 짜여 있었고요. 더 놀라웠던 건 야광봉, 반사 조끼 같은 안전 장비도 전부 갖춰서 진행해줬다는 거예요. 그냥 뛰는 게 아니라, 마치 진짜 마라톤 대회처럼 출발선에 함께 서고, 동시에 출발해서 각자 페이스대로 달리는 그 순간이 너무 인상 깊었어요. 그리고 돌아오면 완주 증서도 나눠줬거든요. 그런 디테일 하나하나가 되게 감동이었고 땀 흘리며 함께 뛰었던 그 밤이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에 남아 있어요. 그런 행사가 또 열리기 쉽지 않다는 걸 알기에 지금도 저희 2기만의 자랑으로 남아 있어요.
멘토로 합류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나요?
루미 : 삶을 어떻게 살고 싶은가에 대해 많이 고민했어요.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는 삶을 살고 싶었고, 그 가치와 아카데미가 잘 맞았어요. 그래서 멘토로 지원하게 됐습니다.
